6.25전쟁 당시 항공전 사진 항공전 사진 반세기만에 공개 6.25전쟁 당시 치열했던 항공전의 실상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사진들이 반세기만에 공개됐다. 사진 제공자는 미 제5공군 1993대대 관제사로 참전했던 앤슬리 플라르드-레오(73)씨. 전쟁 당시 일병 계급이었던 그는 우리 공군의 최전방 작전기지였던 강릉기지 전경과 전투참.. ☞ 역사속으로[1] 2008.10.06
※ 6·25 참전국 현황 6·25 참전국 현황 (전투부대 파견국) 국 명 참전연인원 (명) 참 전 규 모 지 상 군 해 군 공 군 미 국 1,789,000 ○ 보병사단 : 8 ○ 해병사단 : 1 ○ 연대전투단 : 2 ○ 병력 : 302,483명 ○ 극동 해군 ○ 미 제7함대 ○ 극동 공군 영 국 56,000 ○ 보명여단 : 2 ○ 해병특공대 1 ○ 병 력 : 14,198명 ○ 함 정 17척 (항모 1.. ☞ 역사속으로[1] 2008.10.06
[사진] 한국전쟁시 포로로 잡힌 사람들 사진모음 * 6.25의참상이 담긴 사진첩입니다. ▲ 1950. 8. 25. 부산 근교의 임시 포로수용소에서 포로들이 심문을 받기 위해 줄을 서서 기다리고 있다. ▲ 1950. 8. 28. 유엔군에게 잡힌 북한측 포로. ▲ 1950. 9. 27.부산, 북한 측의 포로들을 임시 포로수용소로 데려가고 있다. ▲ 1950. 9. 29. 생포된 북한 측 포로들. ▲ 1950. 1.. ☞ 역사속으로[1] 2008.10.06
故 박정희 대통령 가족사진 모음 朴正熙 시대의 대한민국 사람들은 근대적인 국민국가 건설에 礎石을 놓았다. 朴대통령이 再選에 성공한 1967년에는 제3비료공장, 연합철강, 구로동 수출산업공업단지, 쌍용시멘트 공장이 속속 준공됐다. 젊은 대통령은 그 건설의 현장을 빠짐없이 챙겼다. 베트남에서는 청룡·맹호·백마 부대 장병들.. ☞ 역사속으로[1] 2008.10.06
문세광 저격사건 5대 의혹 문세광 저격사건 5대 의혹 ① 1974년 8월15일 오전 10시23분께 광복절 기념식이 열린 서울 장충동 국립극장에서 문세광이 박정희 대통령과 부인 육영수씨를 향해 총을 쏜 뒤 객석에서 내민 발에 걸려 넘어지기 직전 오케스트라석 분리대를 짚고 단상으로 권총을 겨냥하고 있다. ② 육영수씨가 총격을 받.. ☞ 역사속으로[1] 2008.10.06
문세광 저격사건 5대 의혹 < 문세광 저격사건 5대 의혹 > 저격사건 발생이후 문세광씨는 1∼3심에서 모두 사형을 선고받고 사건 발생 128일만인 1974년 12월20일 서울구치소에서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지만 이 사건에 대한 의혹은 끊이지 않았다. 사건 현장인 서울 장충동 국립극장에서 발사된 총탄이 모두 몇발이냐에서부터 시.. ☞ 역사속으로[1] 2008.10.06
미국이 박정희 피살의 배후? [외교안보] 미국이 박정희 피살의 배후? 핵·미사일 개발 둘러싸고 폭발 직전으로 걷잡을 수 없이 치달았던 1970년대 후반의 한-미 관계 ▣ 임을출 기자 chul@hani.co.kr “혁명을 일으킨 목적은 혈맹인 미국과의 관계가 건국 이래 가장 나쁜 상태에서 이 관계를 완전히 회복하기 위해….” 박정희 전 대통령.. ☞ 역사속으로[1] 2008.10.06
[사진] 김두한 및 그시대 인물 사진 한 시대를 풍미했던 조선 주먹의 황제 김두한 김두한의 가족들(가운데 따님 김을동) 김두한의 결혼식 사진 우리들의 영원한 큰 형님 김두한 민중들 앞에서 연설하는 김두한 한때나마 김두한으로 불리었던 세 사람 졸린 눈에 팔자걸음? 이 사람이 바로 전설의 싸움꾼 시라소니 이 사람이 바로 정치 깡.. ☞ 역사속으로[1] 2008.10.05
고구려를 빛낸 10개의 명장면 [특집]고구려를 빛낸 10개의 명장면 [뉴스메이커 2004-11-19 15:42] 1. '하늘'과 '물'의 정령 주몽왕 북부여 땅을 탈출하여 추격하는 병사들을 따돌리며 내달리는 주몽 앞에는 시퍼런 강물이 굽이치고 있었다. 손에 땀을 쥐게 하는 위기일발의 순간이었다. 숨 고를 틈도 없이 주몽은 활로 수면을 내리치면서 ".. ☞ 역사속으로[1] 2008.10.05
[사진] 70여 년 전에 찍은 광개토대왕비 [사진특종] 70여 년 전에 찍은 광개토대왕비 李五峰 月刊朝鮮 사진팀장(oblee@chosun.com) 중국의 고구려史 왜곡이 문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70여 년 전에 찍은 광개토대왕비 사진이 발굴됐다. 「韓國古書會(한국고서회)」 金時漢(김시한·74) 회장이 공개한 이 사진은 1931년 일본 平凡社에서 발간한 「書道全.. ☞ 역사속으로[1] 2008.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