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일곱 편에 걸친 김병모님의 ‘民族의 뿌리를 찾아서’ 시리즈를 마감한다.
작은 의문에서 출발했던 한 노학자의 40년에 걸친 탐구과정을 따라가며 다양한 감정이 솟아오름을 느꼈다. 한 분야를 깊이 탐구해온 노학자에게 학문의 길로 접어든 이래 거의 모든 시기를 사로잡았던 화두이며, 긴 탐사의 여정 끝에 마무리 지은 ‘뿌리 찾기’의 결과는 ‘마감이 아닌 새로운 시작’ 이었다. 김해 김씨와 김해 허씨로 대변되는 2천년 전 두 이질적 문화의 만남은 ‘반만년 단일민족’ 이란 우리의 정체성을 다시 돌아보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광활한 지역에 흩어져 있었지만 끊임없이 영향을 주고받았던 문화의 흐름에 대해서도. 시베리아의 바이칼호, 알타이산맥, 몽골의 초원, 멀리 유럽의 독일, 중동지방, 인도, 동남아와 중국에 이1瘦沮?유라시아 대륙 전반을 탐사하며 발견해 낸 흔적들을 통해 정립된 결과물들은 지금까지 생각해오던 상식의 범주를 여지없이 흔들어버렸다. 수천 년 전 북방 초원의 기마민족 문화와 남방의 문화가 만나 새로운 문화를 형성했고, 지금까지 이어져 왔다는 것이다. 단군이래 우리민족은 하나의 핏줄로 이어져 온 ‘단일민족’ 이라는 개념이 조금은 퇴색된 것이다. 아울러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에 대해서도 커다란 화두를 던지지 않았나 생각한다. 근세 조선의 형성 이후 이 땅을 중심으로 작게 축소되기만 한 우리의 사고의 폭은 물론, 우리가 배워왔던 일제에 의해 원형이 만들어진 소위 ‘반도사관’에 충실한 역사관으로는 도저히 이해하기 어려운 사실들이 유적과 유물에 의해 증명되었다. 또한 현재 그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언어와 생활상, 풍습은 물론 전해져 내려오는 지역의 사료 등에 의해 검증된 많은 결과물들은 우리의 정체성과 잃어버린 역사에 대해 더욱 깊은 의문을 던지고 있다. 우리 역사의 근간을 혼란스럽게 하는 민족사와 지역사의 혼재, 수많은 외부의 침략과 역대 왕조 흥망 시 유실되고 소실된 과거 기록의 부재, 근세 조선의 개국이래 일제강점기까지 진행된 역사의 축소와 윤색과 왜곡, 광복 이후 지금까지 정론으로 자리잡은 허점투성이의 국사에 대해 많은 부분을 새롭게 정립해야 할 시점이 아닐까 한다. 다양하고 객관적인 검증을 통해 기존의 틀이 갖고 있는 단단한 고정관념 역시 허물어야 할 것이라 생각한다. 이미 일본과 중국에 의해 진행되고 있는 역사왜곡으로 인해 더 많은 소중한 자료들이 유실되고 그 흔적들이 사라지기 전에. < 2005년 9월 11일 작성 > ---------------------------------------------------------------------------------- ⑦ 한민족의 뿌리를 찾아서 왜 普州太后(보주태후)인가 서기 48년에 가락국에 도착한 許黃玉(허황옥)은 인도의 阿踰馱國(아유타국) 출신의 공주 신분이라고 「삼국유사」가 전하고 있다. 김수로왕과 결혼한 그 여인이 낳은 후손들이 김해 金氏와 김해 許氏가 되었고, 여기서 파생해 나간 인천 李氏 등이 합하여 현대 한국 인구 중 최대의 성씨로 발전하였다. 따라서 許黃玉은 자타가 공인할 만큼 한국인의 뿌리 형성에 크게 기여한 인물로 치부되어 있다. 이 여인의 출신지에 대하여는 인도의 갠지스江 유역에 있는 역사도시 아요디아(Ayodhia)인 듯하다고 학자들의 견해가 모아지고 있다. 게다가 가락국의 國章格(국장격)인 물고기 두 마리가 마주 보는 神魚像(신어상)이 수로왕릉에도 여러 개 그려져 있지만, 아요디아에도 수백 개의 힌두교 사원의 정문마다 그려져 있어서 아요디아와 김해, 아유타국과 가락국의 어떤 문화적인 연결을 강하게 암시하고 있다고 月刊朝鮮 3월호에 설명하였다. 두 지역을 잇는 중심인물인 許黃玉(허황옥) 여인의 정확한 출신지에 대하여 어떤 암시를 하고 있는 유적이 지금 김해市에 있는 許黃玉의 능비이다. 여기에 다음과 같은 비문이 새겨져 있다. 「駕洛國 首露王妃 普州太后許氏陵」 이 비석은 조선시대에 세워진 것인데 음각되어 있는 글씨들의 字體(자체)가 뚜렷하여 판독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 이 비문에서 의미를 알 수 없는 것은 「普州太后(보주태후)」라는 부분이다. 왕비였던 여인의 시호로서 왜 「普州」라는 단어가 등장하였는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분명히 그 여인의 후손들이 의논하여 왕비로서의 품격에 걸맞은 시호를 결정하였을 것이다. 그런데 왜 普州太后인가? 한국 고대사에서 왕의 부인들은 시호가 없거나 있을 경우 대개 ○○부인이다. 예컨대 신라 박혁거세의 왕비는 閼英夫人(알영부인)이고, 석탈해의 왕비는 阿孝夫人(아효부인)이다. 가락국이 가야로 발전하면서 계승된 후대 왕들의 왕비들 중 아무도 「○○태후」라는 시호가 없는데 유독 許黃玉에게만 시호로서 普州太后라는 타이틀이 주어진 사실은 매우 이례적이면서도 흥미 있는 내용이다. 어쩌면 許黃玉 시대에는 시호라는 것이 없다가 후손들이 조상 할머니의 출신과 생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普州(보주)라는 시호를 주었는지도 모를 일이다. 그렇다고 해도 기왕에 출신지를 기념한다면 그녀의 출신국인 「아유타국 태후」라고 해야 마땅할 터이다. 고려 공민왕의 妃(비)를 魯國公主(노국공주)라고 불렀던 역사적 기록도 있고 해서 수로왕비의 시호에 「땅」이라는 의미의 「州(주)」자가 포함된 普州太后는 더더욱 흥미를 불러일으킨다. 가야史를 전공하는 역사학자들이나 그 여인의 후손들인 김해 金씨나 김해 許씨 문중 출신 어느 누구도 이 문제를 심도 있게 다루지 않고 수백 년, 정확하게 말한다면 거의 2000년이 흘러가고 말았다. 뿐만 아니라 매년 봄·가을이면 김해에 답사여행으로 찾아오는 수천 명의 각급 학생들과 선생님들의 눈에도 분명히 普州太后라는 커다란 글씨가 보였을 터인데도 어느 누구도 의문을 가져 본 사람이 없는 듯하다. 나도 처음에는 「普州(보주)」가 그 여인의 고향인 인도 아유타의 어느 한 마을쯤으로 짐작하고 인도에서 구입한 지도를 여러 개 꺼내 놓고 普州를 찾아보려고 하였다. 인도의 지도들은 모두 영어로 인쇄되어 있다. 따라서 普州 라고 발음될 수 있는 지명을 찾느라고 많은 시간을 낭비하였지만 헛수고였다. 普州(보주)는 중국 安岳縣(안악현)의 옛 이름
普州는 의외로 가까운 데 숨어 있었다. 「中國故地名辭典」에서 찾아낸 普州(보주)는 四川省(사천성) 安岳縣(안악현)의 옛 이름이었다. 周(주)나라 때부터 宋(송)나라 때까지 普州라고 불렸다. 그렇다면 許黃玉(허황옥)의 시대인 後漢(후한) 때는 바로 普州라고 불리던 때 아닌가? 그렇다면 許黃玉(허황옥) 왕비의 시호로서의 普州(보주)와 後漢(후한)의 지명으로서의 普州는 아무 관계가 없이 우연히 글자만 똑같다는 말인가. 이런 의문이 떠오르자 나는 묘한 사건에 연루되어 가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後漢 때의 四川省 지방은 오늘날 重慶(중경)을 중심으로는 巴(파)이고 成都(성도)를 중심으로는 蜀(촉)땅이 있었다. 동쪽으로 南郡(남군)과 경계를 삼고 있었다. 우선 나는 당시의 역사를 기록한 「後漢書」를 들췄다. 許黃玉(허황옥)의 한국 도착 때인 서기 1세기에 해당되는 부분을 찾아 천천히 읽어 나갔다. 後漢 光武帝(광무제) 건무 23년(서기 47년) 南郡(남군)에서 반란이 일어났다. 토착민들이 봉기하여 漢나라 정부에 대항하였다. 반란군의 세력이 강하여 정부는 진압군을 파견해 힘겹게 진압하였다. 반란군을 일으킨 토착인구 7,000명을 江夏(강하·현재 武昌(무창) 지방)로 이주시켰다. 서기 47년이면 許黃玉(허황옥)의 가락국 도착 사건보다 꼭 1년 전이다. 南郡(남군)이면 양자강 중류지방이다. 당시의 普州(보주) 땅과는 아주 가까운 거리이다. 거기서 반란사건이 일어났다면 普州에 살고 있던 사람들도 정치적인 소용돌이에서 자유롭지 못했을 것 같은 생각이 들었다. 묘한 사건을 우연히 목격하게 된 증인처럼 나는 이 문제에 계속 빠져 들어갔다. 「後漢書」를 계속 읽어 나갔다. 『和帝 永元 十三年, 許聖等 以郡收稅不均, 懷怨恨 遂屯聚反叛 明年夏, 遣使者 督荊諸郡 兵萬餘人討之. (중략) 大破聖等, 聖等乞降, 復徙置江夏…』 <後漢 和帝(화제) 永元(영원)13년(서기 101년) 이 지역에서 또 반란이 일어났다. 許聖(허성)의 무리가 세금의 차별이 있는 것에 원한을 품고 반란을 일으켰다. 다음해 여름, 정부는 사자를 파견하여 荊州(형주) 여러 郡의 1만여 병력을 동원하여 반란군을 토벌하였다. (중략) 許聖 일당을 크게 격파하였더니 許聖의 무리가 항복하였다. 이들을 또다시 江夏(강하)로 이주시켰다> 이 두 번에 걸친 사건들의 내용들을 종합하면 許黃玉(허황옥)이 왜 普州太后(보주태후)라고 불리게 되었는지에 대하여 매우 중요한 단서를 추출할 수 있었다. 南郡(남군)은 普州(보주)와 인접해 있는 땅이어서 南郡에서 수천 명이 연루된 반란사건이 있었다면 가까운 普州에 그 불똥이 튀지 않을 수 없었을 터였다. 두 번째 사건에서는 반란을 주동했던 인물로 許聖(허성)이라는 이름이 등장한다. 즉, 許씨 성을 가진 사람이 普州(보주)에서 일어난 정치적 사건의 중심에 있었다는 이야기가 된다. 이건 매우 중요한 내용이었다. 普州와 관련된 지역에 許씨가 지도층 인물로 살고 있었고, 정치적 사건의 결과로 수천 명의 인구가 두 번씩이나 양자강 하류인 武昌(무창)지방으로 강제 이주 당한 사건이었기 때문이다. 만약에 47년 반란사건 때 고향을 떠난 7,000명 중에 許씨 성을 가진 15세의 소녀가 섞여 있었다면 다음해에 양자강을 타고 황해로 나와 가락국에 도착할 수도 있는 가능성이 성립된다. 한국 측의 기록인 「삼국유사」와 중국 측의 기록인 「後漢書」의 내용을 종합하면 양자강 상류의 普州(보주) 땅에 살고 있던 세력인 許氏族들이 後漢 정부의 차별 대우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가 실패한 사건이 있었고, 후에 許氏族 출신 한 소녀가 황해를 건너 가락국에 도착하는 일련의 사건이 시간의 톱니바퀴처럼 꼭 맞아 돌아가는 것으로 추리된다. 나는 미궁에 빠진 사건을 다시 꺼내 수사해야 하는 사람의 심정이 되었다. 수사는 누가 시켜서 하지 나는 누가 시키지도, 해결한다고 해도 누가 칭찬도 하지 않을 사건을 추적하고 있는 기분에 빠졌다. 그래도 사건해결의 기미가 보이니까 아주 재미있어졌다. 許氏族은 司祭(사제)였다
이어서 계속되는 「後漢書」의 기록에서 점점 더 흥미 있는 내용이 나타났다. 許聖(허성)의 許는 성씨가 아니고 세습되는 직업 신앙인(巫師)이었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그 직업 巫師(무사)는 그 사회에서 존경받는 신분이었다고 한다. 신앙인의 직분을 세습하는 종교란 무엇일까. 중국역사책에 표현된 「巫師」는 중국인의 유교적 기준으로 본 다른 민족의 종교 지도자를 일컫는 표현일 것은 분명하였다. 그렇다면 시베리아 샤먼처럼 世襲巫(세습무)일 수도 있을 것이고, 인도의 브라만일 수도 있다. 계급이 세습되고, 특히 신앙 지도자의 계급이 세습되는 사회는 인도의 힌두교 사회뿐 아닌가. 그렇게 생각하면서 「삼국유사」를 자세하게 읽어 보면 가락국에 許黃玉(허황옥)도 두 아들에게 許씨 성을 賜姓(사성)하지 않았나. 「後漢書」의 설명대로 「許」라는 말이 직업 巫師(무사)라면 許씨를 사성하였다는 것은 직분 내지는 계급을 세습시켰다는 말이 된다. 그렇다면 許氏族은 사제계급이었다는 말이 된다. 이 대목은 한국 고대사회를 해석하는 데 아주 중요한 내용을 시사하고 있어서 따로 깊은 연구가 필요하여 여기서는 일단 접어 놓겠다. 다만 김해 신어산 은하사 현판에 있는 기록 하나를 소개한다. 은하사는 본래 西林寺(서림사)였다. 서림사를 창건한 인물은 長遊和尙(장유화상)인데 許后(허후.許黃玉)의 오빠다. 한국사에서 許씨 성을 가진 최초의 남자는 長遊和尙(장유화상)이고 직분은 승려라는 내용이다. 불교는 힌두교 사회인 인도에서 시작된 철학세계이고, 서력기원 1세기 전반에는 아직 중국에도 불교가 도입되기 전인데 한국 가락국에 승려가 도착하여 절을 창건하였다는 내용이다. 이 현판 내용의 진위를 떠나서 한국에 불교가 언제 도입되었느냐를 암시하는 내용이므로 중요한 연구 테마가 또 하나 생겨났다고 볼 수 있다. 長遊和尙(장유화상)은 許黃玉(허황옥)과 함께 가락국에 와서 許后(허후.許黃玉)가 낳은 아들 7명을 가르쳐 득도하게 한 인물로 그 전설은 지금 하동군 화개면 七佛寺(칠불사)에 잘 전해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後漢書」의 기록대로 「許」는 세습되는 직업무사라는 내용이 더욱 설득력이 있다. 그래서 나는 직접 普州를 답사해 보지 않고는 앞으로의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 없다는 것을 느꼈다. 그러나 普州(보주)는 나에게 쉽게 문을 열지 않았다. 1990년 몽골에서 귀국하는 길에 시도한 普州 탐사계획은 北京(북경)에서 무산되었다. 上海(상해)나 成都(성도) 같은 대도시까지는 외국인들의 여행이 허가되었지만, 安岳(안악)같은 시골 도시는 외국인의 출입을 금지하고 있을 때였다. 나는 만만디(漫漫的)의 중국 정부와 지구전을 펼쳤지만, 그냥 아쉽게 귀국할 수밖에 없었다. 언젠가 普州가 나에게 문을 열 날을 기다렸다. 다음해 여름 행운이 찾아왔다. 西安에 있는 국립 陝西省(섬서성)박물관이 새롭게 개관하는 행사에 초대되었기 때문이었다. 행사에 함께 갔던 한병삼 씨와 이종선 씨는 행사 참가 후 귀국길에 오르고, 나는 무조건 成都로 내려갔다. 이번에야 말로 普州에 찾아 들어가서 끝장을 봐야 했기 때문이었다. 새들도 울고 넘는 蜀道(촉도)를 지나.. 西安을 떠난 프로펠라 비행기가 晋嶺(진령)이 손에 닿을 듯이 겨우겨우 넘어 「三國志演義(삼국지연의)」에 나오는 「蜀道(촉도)」 위를 지나 成都에 도착하였다. 중국 땅에서 西安-北京으로 이어지는 북쪽의 황하 水系(수계)와 남쪽의 양자강 水系는 별개의 환경이다. 북쪽은 사막처럼 평지에 먼지가 많고, 남쪽은 산과 강으로 이루어진 천혜의 농경지대이다. 成都를 중심으로 하는 四川지방은 秦(진)나라의 통일 이전에는 중국 땅도 아니었다. 양자강 상류의 한 경제 단위로서 역사에서는 蜀(촉)으로 알려져 있던 중국사에서의 변방이었다. 西漢(즉 前漢 BC 202~AD 8) 기간이 되어서야 비로소 益州(익주)라는 행정구역 서쪽 끝에 끼어들어 중국사에 있어 일부분이 되기 시작하였다. 그때까지 蜀(촉) 땅은 변변한 나라도 아닌 고대국가 이전 단계의 首長(수장)사회였던 것 같다. 成都에 도착하기 전부터 이번 해부터는 安岳縣(안악현)까지 외국인의 여행이 가능하다는 전갈을 받았지만, 지방에 가면 무슨 불의의 장애가 나타날지 모르니까 미리 만반의 준비를 하였다. 오래 전부터 국제회의 때마다 중국대표로 참가하여 나와 잘 알게 된 문물국의 羅哲文(나철문) 선생께 부탁하여 四川省의 역사학자 몇 사람을 만날 수 있도록 수배해 놓고, 혹시나 아주 시골 마을까지 가야 할 경우를 생각하여 현지의 조선족 안내인과 전용차량을 준비시키고 成都에 도착하였다. 成都에서 역사학자인 高文(고문) 선생을 만나 내가 安岳(안악)에 가야 할 이유를 설명하였다. 許聖(허성)의 반란사건과 혹시 神魚像(신어상)이 成都의 박물관이나 安岳(안악)지역에서 고고학 유물로 남아 있지 않을까 하는 희망을 한 시간 넘게 설명하였다. 高文 선생으로서는 처음 듣는 이야기이고, 통역하던 이천석씨도 전혀 모르는 내용이라서 설명과 통역이 길어질 수밖에 없었다. 先답사·後계획 세우는 연구방법 중국사에는 단 한 줄도 남아 있지 않은 역사 속의 어느 한 여자의 흔적을 찾는다고 四川까지 찾아온 한국 출신 고고학자의 이야기를 듣던 高文(고문) 선생은 측은한 표정으로 몇 가지 참고할 사항을 알려 주었다. 安岳에 가면 安岳縣志(안악현지) 편찬위원회가 있으니까 찾아가 보라는 내용이었다. 미리 그곳에 전화를 하여 漢나라 시대 安岳의 역사를 조금이라도 아는 사람을 섭외하고자 하였으나 그건 다 배부른 부르주아들의 생각이란다. 安岳縣志(안악현지) 편찬위원회에 무슨 전화가 있을 것이며, 그 시골에서 安岳의 地方史(지방사)는커녕 역사학에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이 있을 것 같지도 않다는 의견이었다. 四川 아니 蜀(촉)나라의 수도인 成都의 지식인들은 安岳 따위의 시골은 아예 무시하고 있는 듯하였다. 다음날 아침 나는 安岳(안악)을 향해 떠났다. 나는 아프리카를 탐사한 리빙스턴 처럼 무조건 安岳을 향해 들어갔다. 더 이상 成都 여관에 앉아서 한가하게 정보를 수집하고 있을 때가 아니었다. 나는 지구상의 어느 지역이 연구선상에 떠오르면 문제의 지역을 우선 답사하고 나서 다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나의 연구방법이다. 1980년대에도 아시아의 고인돌 문화의 확산과정을 연구할 때, 인도와 한국 사이에 넓고 넓은 땅을 차지하고 있는 인도네시아의 群島들을 4회에 걸쳐 답사하고 나서, 아시아 고인돌의 분포도를 그릴 수 있지 않았던가. 비록 그 방법이 힘들고 비용이 많이 들지만 시간을 단축한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나는 지난 25년간 운이 좋아서 학회 일로 또는 정부 일로 여러 나라를 다닐 수 있어서, 그때마다 미리 생각해 두었던 여러 곳의 「문제 지역」을 답사하곤 하였다. 安岳(안악)의 옛날 이름이 普州(보주)이고 나의 조상 할머니인 수로왕비 許黃玉(허황옥)의 시호가 普州太后(보주태후)이다. 그 내용 하나만으로도 내가 安岳 땅을 답사해 볼 충분한 이유가 된다. 게다가 이 지역에서 許黃玉의 생존기간 중인 서기 47년에 반란사건이 일어나 7,000명이 추방되었고, 그 후에 반란세력의 주동자로 許씨 성을 가진 사람이 있었다는 것을 밝혀 낼 수 있었기에 이곳까지 오게 된 것이다. 여기서 나는 혹시라도 지금까지 살고 있는 許씨의 후손을 만날 수 있다면 다행한 일이고, 許씨들이 後漢 이후 어떻게 살아왔는지를 기억하는 사람이라도 만나게 된다면 커다란 행운이라고 생각하며 여기까지 오게 되었다. 범을 잡으려면 虎窟(호굴) 속에 들어가야 한다는 말처럼 자동차로 비포장도로를 따라 네 시간 넘게 걸려 安岳(안악)으로 들어갔다. 安岳은 북위 30도 선상에 있다. 上海보다도 더 남쪽이니 6월의 날씨가 더울 것은 짐작하였지만 차창을 통해 들어오는 후끈한 열기는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더 뜨거웠다. 오리 떼가 노니는 許씨 集姓村, 許家鴨原(허가압원) 安岳(안악)은 成都(성도)와 重慶(중경)의 중간에 있는 내륙지방 한가운데 있는 농촌이었다. 오후 2시쯤 도착하여 차에서 내리려니까 찜통 같은 더위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었다. 시내에는 사람의 인기척이 드물었다. 너무 더워서 사람도 동물도 모두 쉬고 있는 시간인 듯하였다. 이탈리아나 스페인의 여름 낮처럼 사람들은 낮잠을 자고 있는 듯 시내의 길들이 텅 비어 있었다. 강렬한 햇볕만이 도로를 달구고 있었다. 이곳이 옛날에 普州(보주)였다는 흔적이 시내 여기저기에 남아 있었다. 「普州賓館(보주빈관)」, 「普州 照像館(조상관·사진관)」 등. 우선 招待所(초대소)에 짐을 내리고 安岳縣志(안악현지) 편찬위원회를 찾아갔다. 사무실에는 러닝셔츠 바람으로 낮잠을 즐기던 60代 村老 한 사람이 있을 뿐이었다. 그래도 그 사람을 상대로 우리는 탐문을 시작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나 漢나라 때 許聖(허성)의 반란사건이나, 내가 제시하는 김해 수로왕릉의 神魚像(신어상) 사진과 비슷한 것도 보지 못하였다고 한다. 사무실은 참고도서 한 권도 없는 위원회였다. 하얀 바탕에 검은색으로 크게 써 붙인 사무실 간판과는 전혀 어울리지도 않았다. 인류학 현지 조사에서 성공하려면 제일 중요한 것이 좋은 정보 제공자를 만나는 일인데, 나는 첫 번째 시도에서 운이 따르지 않았음을 느꼈다. 그래도 나는 두어 시간을 보내며 물에 빠진 사람이 지푸라기라도 잡으려는 심정으로 그날의 유일한 「인포만테(정보 제공자)」인 노인과 대화를 시도하였다. 집요한 질문 끝에 安岳(안악) 시내에 許씨 성을 가진 사람이 몇 사람 살고 있다는 정보를 얻어 내게 되었다. 초대소에 들어온 우리는 여기저기 전화를 걸고, 사람을 보내고 하여 어렵사리 許彪炳(허표병)이라는 사람을 수배할 수 있었다. 밤 10시가 넘어서 만나게 된 許彪炳(허표병)씨는 중학교 교장선생님이었다. 나의 오랜 설명을 듣고 나더니 자기가 태어난 고향으로 안내해 주겠다고 하였다. 그곳까지 가는 길은 험해서 자기는 한 번도 가본 적이 없고 삼촌이 길을 안내해 주도록 알아보겠다고 약속하고 헤어졌다. 다음날 오전 6시에 만난 우리는 民主鄕(민주향)이라는 許氏族 마을을 향해 떠났다. 짙은 안개를 뚫고 張河(장하)라는 마을까지 가서 타고 간 지프차를 버리고 거기서부터 산골길을 한 시간 가량 걸어갔다. 나의 눈앞에 나타난 마을의 옛날 이름은 許家鴨原(허가압원)이었다고 하였다. 「오리 떼가 노니는 許씨들의 마을」이라는 詩的인 명칭이었다. 낮은 산을 등지고 여러 개의 강줄기 사이에서 40여 호의 인구가 논밭을 일구며 살고 있었다. 전형적인 시골 마을로 달구지 하나 변변하게 다닐 길도 없는 시골 농촌이었다. 6월의 논에서는 벼가 탐스럽게 자라고 있었다. 동네 이름대로 강가에 오리들이 한가롭게 떠 있고, 한국 농촌에서도 흔하게 볼 수 있던 누렁 소가 한가롭게 풀을 뜯고 있는 풍경이 정지용의 詩 「향수」를 읊고 있는 듯한 착각에 빠지게 하였다. 普州(보주)에 살고 있는 許氏族 한 농가를 지나가며 그 안을 기웃거려 보니 대문 안으로 디딜방아가 걸려 있었다. 중국어로 디딜방아가 무어냐고 물으니 이천석씨가 踊米(용미)라고 적어 주었다. 「쌀을 춤추게 한다」는 뜻인 모양이다. 이런 곳에서 살던 사람이 고향을 떠나 한국의 어느 농촌으로 이사를 간다고 해도 생활방식은 전혀 바꿀 필요 없이 살아갈 수 있겠다고 생각하며 마을 중심으로 걸어 들어갔다. 許교장의 삼촌이 어느 한 집으로 들어가더니 40代 남자 한 사람을 데리고 나왔다. 촌장의 아들인 許太恂(허태순)이라고 하였다. 40代의 許太恂(허태순)씨가 안내한 곳은 사당이 무너진 폐허였다. 벽돌과 기왓장이 어지럽게 쌓여 있는 사이로 나무가 사람 키를 훌쩍 넘겨 자라 있었다. 許氏族의 사당이라고 하였다. 1960년대 불어 닥친 문화혁명 기간 중에 紅衛兵(홍위병)들에 의하여 파괴되었다고 한다. 紅衛兵(홍위병). 한국전(중국식으로는 조선전쟁)에 참가하느라고 기진맥진하던 중국을 다스려야 했던 毛澤東(모택동)이 경제불안 등의 내부불만을 잠재우기 위해 문화혁명이라는 이름으로 지식인들을 숙청하였는데, 이때 전위대로 앞세운 것이 바로 10代의 소년들로 구성된 홍위병들이다. 홍위병들의 狂氣(광기)는 사당을 불태우는 데 그치지 않고 마을 뒤 許씨 宗山(종산)에 묻혀 있는 조상들의 무덤에서 비석들까지 모두 뽑아서 강물 속에 던져 버렸다고 한다. 각 지역에서 살고 있는 씨족들의 세력을 뿌리째 뽑아 버리려는 의도였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씨족의 구성원 중에 평소에 사상적으로 의심 받던 사람들과 젊은이들을 강제로 이주시켜 그들은 할 수 없이 湖南省(호남성)·廣東省(광동성)으로 쫓겨가게 되었다고 한다. 지금 생각하면 야만적인 처사이지만 당시에 중국인들은 秦始皇(진시황) 때의 焚書坑儒(분서갱유) 사건을 떠올리며 참고 견디는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6·25 때 인민군 치하에서 붉은 완장을 두른 사람들이 수많은 양민을 무참하게 죽이지 않았나. 세월이 흐른 후에 중국의 지식인들 중에 죽도록 고생하다가 겨우 살아남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종합하면 홍위병의 만행은 바깥세상에 알려진 것보다 훨씬 심했던 모양이다. 그래서 許교장이 왜 자신의 고향을 한 번도 찾지 못했었는지 그 이유를 짐작할 수 있었다. 許교장은 소위 배운 자, 즉 지식분자 아닌가. 하마터면 정치광풍에 휩싸여 역사 속에서 의미 없이 사라질 뻔한 사람 중에 하나였을 것이다. 정치가 무엇이며 이념이 무엇인지. 광기 어린 세월이 지나고 나서도 한참 후에야 쫓겨났던 사람들이 하나 둘 고향으로 돌아오고, 남아 있던 노약자들과 함께 버려졌던 비석들을 찾아다가 제자리에 놓았는데, 똑바로 세워 놓지 않고 모두 엎어 놓았다. 그 이유인즉 언제 또 문화혁명 같은 광풍이 몰아칠지 모르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그 중 한 개를 세워서 이름을 읽어 보니 許應鳳(허응봉)이었다. 기록 삼아 사진을 한 장 찍으려 하니 許太恂(허태순)씨가 펄쩍 뛰며 말리는 것이다. 중국은 그때까지도 공포의 분위기였다. 한바탕의 미친 바람 紅衛兵(홍위병)의 亂行(난행) 이곳은 許씨들의 종산으로 수십 기의 許씨 묘들이 산등성이를 따라 줄지어 있었다. 정치적인 문제들만 없었다면 누가 보아도 평화롭기 그지없는 농촌마을이었다. 불과 30년 전에 혁명이라는 一陣狂風(일진광풍)이 몰아쳤던 곳이라고 생각할 수 없게 지극히 안정된 농촌 풍경이었다. 그러나 이곳의 許氏族들은 2000년 전에도 漢나라의 차별정책 때문에 심한 박해를 받고 7,000명이나 되는 인구가 고향에서 강제로 추방된 적이 있는데, 20세기 말에 또 이념의 희생양이 되어 죽고 추방되는 비극이 되풀이된 것이다. 왜 비극은 반복되고 있는지 모를 일이라고 속으로 한탄하지 않을 수 없었다. 民主鄕(민주향)의 방문으로 나는 일단 安岳縣(안악현) 내에 許씨들의 집성촌이 여러 개 존재한다는 중요한 정보를 얻게 되었다. 許씨 마을에서 오래 머물면서 村老들을 만나 지나간 이야기를 듣고 싶었지만 나는 떠나야 했다. 숙소도, 식당도, 하다못해 구멍가게 하나도 없는 글자 그대로 僻地(벽지)였기 때문이었다. 나는 오전 6시에 安岳 시내를 떠나 오전 10시가 넘도록 물 한 모금 마시지 못하였다. 도중에 가게나 인가가 하나도 없는 산골 길을 왔기 때문이었다. 새벽에 지척을 분간하기 어려웠던 안개가 걷히니까 그 유명한 南중국의 뜨거운 태양이 열기를 쏟아 붓기 시작하였다. 내가 사당 앞에서 許씨들과 이야기하고 있을 때, 마을 사람들과 어린이들이 하나 둘 모여들기 시작하였다. 그들의 모습을 관찰하니 황하를 중심으로 살고 있는 北중국인들과는 인상이 달랐다. 우선 키가 조금 작고 피부색이 약간 검었다. 눈이 커서 윤곽이 뚜렷하였다. 어른과 아이들에게 부탁하여 무너진 사당 앞에서 함께 기념사진을 찍었다. 그때쯤 나는 갈증과 땀 때문에 더 이상 햇볕 아래 서 있을 수 없었다. 눈이 부시고 탈수 증상이 느껴지면서 어지러워졌다. 許太恂(허태순)씨와 대강 인사를 마치고 강원도의 비탈길 같은 산길을 다시 걸어서 張河(장하)로 돌아왔는데, 피곤하여 무슨 정신으로 걸었는지 생각도 나지 않는다. 다음날 찾은 成都의 박물관에는 神魚像(신어상)이 하나 있었다. 청동제 祭器(제기)의 밑바닥에 물고기 두 마리가 마주 보는 그림이 陽刻(양각)되어 있었다. 神魚像들은 雲南省(운남성)의 漢代의 사당에 사용된 벽돌에서도 보였고, 양자강 중류 武昌(무창)에서 발견된 그릇 바닥에도 새겨져 있었다. 황하 지방의 박물관에서는 전혀 보이지 않던 물고기 조각들이 양자강 유역을 따라 漢나라 때의 유적에서 속속 나타났다. 나의 普州(보주) 방문은 상당한 소득이 있었던 셈이었다. 여름보다 다른 계절을 택하였어야 좋았을 것이라는 경험이 쌓인 셈이고 安岳 지방 출신 高학력 인사들과의 네트워크가 필요하였다. 귀국하여 한국과 인도 등지의 神魚像(신어상)과 普州太后(보주태후)를 추적한 그 동안의 이야기를 정리하여 「김수로왕비 許黃玉(허황옥)」(조선일보 1995)을 출간하였다. 그 책을 成都에서 나를 도와준 외사처 부처장 박명실 여사와 안내해 준 이천석씨에게 한 권씩 보내서 四川에서 신세진 것에 대하여 마음속으로 보답하였다. 瑞雲鄕(서운향) 탐방기 2002년 安岳 출신 인사들을 중심으로 「普州太后(보주태후) 연구회」가 결성되어 나를 명예회장으로 추대하겠다고 연락이 왔다. 이어서 四川省의 관리와 역사연구자들 6명이 한국에 와서 김해市의 송은복 시장을 예방하고 수로왕릉과 許妃(허비)의 능을 참배하고 돌아갔다. 그 사람들이 다녀가면서 액자에 쓴 글씨 한 폭을 내게 주고 갔다. 千秋惠澤自流芳 천추의 그 은덕 향기 되어 흐르네 始祖探源久未詳 수천 년간 감감했던 조상의 뿌리 찾기 紋査雙魚稽遠古 두 마리 물고기가 태고를 이었고 積甄一后涉重洋 황후 한 분이 대양을 건넜다네 堯天不負心良苦 그 놀라운 정성 하늘도 감동하여 禹域終看嗣永昌 이 세상 후손에게 번성을 보이었네 曲譜親緣潑濃墨 아 핏줄기 더듬어 업적을 쌓았으니 許陵松柏鬱蒼蒼 황후 능의 소나무 잣나무 울울창창하리라 金秉模 敎授雅正 中華人民共和國 四川省 安岳縣歷史人名硏究會 江永中 周汝森 合撰 方中 書 2003년 7월 중에 「한국 四川연구회」가 주관한 四川지방 탐방여행에 필자와 陽川 許씨 대종회장인 허덕행씨가 동행할 기회가 있었다. 미리 연락해 놓은 현지 학자들과 지난번에 김해를 다녀간 安岳縣(안악현) 사람들의 환대를 받았다. 1991년 나 혼자서 왔을 때에 비하면 너무도 융숭한 안내를 받으며 瑞雲鄕(서운향)이라는 농촌을 찾아갔다. 그곳은 民主鄕(민주향)보다 더 많은 普州 許씨들의 인구가 살고 있었다. 종산과 사당도 보존되어 있었다. 수백 명의 普州 許씨의 후손들이 한국에서 찾아온 우리 일행을 플래카드를 달아 놓고 환영하였다. 오래되어 퇴락한 사당 대문에는 김수로왕릉에 새겨 있는 神魚像(신어상)과 똑같은 물고기 한 쌍이 선명하게 새겨져 있었다. 가락국과 普州(보주)의 역사적인 관계를 암시하는 증거였다. 사당內 중앙 벽면에 普州 許씨 제10代 족장이었던 허창서씨의 영정이 걸려 있었다. 한국에서 간 우리들은 許씨, 金씨를 막론하고 모두 영정에 경배하였다. 우리들을 환영하는 행사는 普州 許氏族長의 환영사, 한국 측 답사, 서울대학 이애주 교수의 살풀이춤으로 이어지는 동안 온 동네의 남녀노유가 모두 나와서 멀리 한국에서 찾아온 손님들을 구경하였다. 가지고 간 「陽川許氏大同譜(양천허씨대동보)」 한 질을 普州 許씨 족장인 許大培(허대배)씨에게 전달하는 것으로 행사를 마쳤다. 普州 許씨들도 普州 출신 한 처녀가 한국 땅으로 시집가서 왕비가 되었다는 전설 같은 이야기를 알고 있는 듯하였다. 현재 安岳縣內(안악현내)에는 14개의 普州 許씨 集姓村(집성촌)이 있으며 그 인구는 10만 명 이상이라고 普州 許씨 종친회 許平(허평) 집사가 귀띔해 주었다. 그들은 한국에서 간 우리들을 마치 오랜만에 만나는 친족처럼 대하였다. 그들은 우리를 마을 뒷산으로 안내하였다. 깎아지른 바위산을 뚫고 東漢(동한) 때의 무덤이 하나 있었다. 후대에 누가 완전히 도굴하여 유물은 없었으나, 동굴 입구 안벽 우측에 神魚像(신어상) 한 組(조)가 새겨 있었다. 누가 보아도 바빌로니아의 神魚像처럼 수직으로 마주 서 있는 물고기 한 쌍이었다. 아무래도 이곳은 神魚사상과 깊은 관련이 있는 땅이었음을 직감하게 하는 조각이었다. 내려오는 비탈길에 암벽 앞으로 작은 우물이 하나 있었다. 암벽에 「神井」이라고 陰刻(음각)되어 있고 그 바로 아래 神魚像(신어상) 한 조가 또 새겨 있었다. 神井의 유래를 설명하는 내용이 희미하게 음각되어 있어서 잠시 서서 읽다가 나는 깜짝 놀랐다. 거기에 「許黃玉」이라는 이름이 분명히 새겨 있었다. 나는 얼른 수첩을 꺼내 들고 내용을 베끼기 시작하였다. 중간 중간에 판독이 안 되는 글자도 있었으나 이야기는 東漢 때가 분명하였다. 물고기 이야기도 있었다. 한참을 끙끙거리며 적고 있는데, 최후에 내려오는 안내인이 그만 가자고 재촉한다. 나는 할 수 없이 사진을 찍고 내려오면서 安岳縣 관리에게 나중에 탁본 한 장을 보내 달라고 부탁하였다. 우리가 安岳을 다녀온 후 김해市의 송은복 시장과 소설가 최인호씨가 업무 협상차 安岳을 방문하고 귀국하면서 내가 부탁한 탁본을 들고 왔다. 『이윽고 물고기 두 마리가 뛰어올라 우리는 살아남았다』 탁본을 펼쳐 보니 다음과 같은 내용이 보였다. 神井記 普州東里鐘地靈出奇氣振人 傑出英聲. 許族早居于斯, 長傳 佳話, 其宅後山如獅, 前原似錦, 崖下井水淸冽旋汲旋盈, 大旱 不竭, 東漢初, 許女黃玉姿容秀 麗, 智勇過人. 兒時喜聆先輩逸 事, 嘗聞, 祖云, 丁卯饑饉, 人多逃 荒, 適母臨♥, 遂絶流離出念賴 父行乞, 度日. 余呱呱墜地. 無哺 乳爾, 曾祖虔禱于井冀獲天賜, 移時, 中有魚躍, 折枝垂釣, 日得 二尾, 烹爲羹作乳汁. 如是經年. 汝祖因以存活, 家人感其靈異, 尊爲神井, 而許氏亦由此繁 衍昌盛. 成望族焉 乙酉春三月上浣毅旦立 탁본을 들고 학교로 갔다. 연구실 옆방은 중국문학 박사인 정석원 교수의 연구실이다. 탁본을 펼쳐놓고 둘이서 한 자 한 자 읽어 내려갔다. 普州(보주) 땅 동쪽 마을 종지란 곳에 신령스러운 기운이 솟아 인걸이 떨치고 영명한 역사가 있다. 許氏族은 일찍부터 이곳에 살았는데 훌륭한 이야기가 오랫동안 전해진다. 그 집 뒷산은 사자와 같고 앞뜰은 비단과 같았다. 바위 아래 우물이 있어 맑은 물이 넘쳐 흘러 긷는 즉시 가득 차 큰 가뭄에도 마르지 않았다. 東漢 초에 許黃玉(허황옥)이라는 소녀가 있어 용모가 수려하고 지략이 뛰어났다. 어릴 때부터 어른들의 이야기 듣기를 좋아했다. 일찍이 할아버지 말씀에 의하면, 『정묘년에 기근이 있어 많은 사람들이 고향을 떠나게 되었을 때, 마침 어머니(증조모)가 産氣가 있어 떠나는 사람들과 헤어져 남게 되었다. 아버지(증조부)가 구걸을 해서 살아가게 되었다. 그때 내(조부)가 이 땅에 태어났으나, 먹을 젖이 없었다. 증조부가 우물가에서 경건히 하늘의 도움을 빌자, 이윽고 우물 속에 물고기가 뛰어올랐다. 나뭇가지를 꺾어 낚시를 드리워 하루에 두 마리씩 낚았다. (물고기를) 쪄서 죽을 만들고 유즙을 만들어서 여러 해를 지낼 수 있었다. 너의 할아버지는 이리하여 살아남았다, 후손들이 그 (우물의) 신령스러움에 감복하여 神井이라고 높여 불렀다. 그래서 許氏族이 오늘날과 같이 번창하고 위대한 씨족이 되었느니라』 을유년 춘삼월 상순 의단 세움. 이런 내용이었다. 비록 전설이지만 東漢 때 許黃玉(허황옥)이라는 여인이 普州(보주) 땅에 살았었다는 내용이 분명하였다. 그것도 신령스러운 물고기 두 마리가 許氏族의 조상을 어려움으로부터 구해 주어 씨족이 계승될 수 있었다는 내용과 함께였다. 普州(보주)의 물고기 두 마리가 기근으로부터 사람을 구해 주었다는 이야기와 인도 코살국 라마王의 선조인 「마누」가 홍수 때 「마치」라는 물고기의 도움으로 살아났다는 이야기가 어떻게 이토록 유사할 수 있을까. 전설의 무대는 옮겨 다니는 법이다. 인도의 마치 설화는 구약성서의 노아가 大洪水(대홍수) 때 물고기의 도움으로 살아났다는 내용과 똑같은 것이므로 노아와 마누는 同人異名(동인이명)일 수도 있다. 한 가지 스토리가 장소를 바꾸어 나타난 것뿐이다. 마찬가지로 代가 끊어질 뻔한 어려움으로부터 許氏族을 구해 주는 신령스러운 물고기 이야기도 장소와 내용이 약간 윤색되어 普州(보주) 땅에 나타난 것으로 해석함이 마땅하다. 마치 「춘향전」의 原典(원전)은 하나뿐인데 부르는 사람에 따라 내용이 조금씩 달라지는 판소리 공연과 같다고 보아야 할 것 같다. 신라의 金閼知(김알지)가 계림에서 태어났다는 내용을 놓고 계림이 오늘날 경주의 계림이 아니라 신라族이 경주에 도착하기 전에 살았던 경기도 일산지방이라는 김성호씨의 주장이 경청할 가치가 있는 것과 같다. 許黃玉(허황옥)의 先祖가 印度(인도)를 떠난 까닭 許黃玉(허황옥)의 할아버지는 丁卯年(정묘년)에 태어났다. 許黃玉(허황옥)은 가락국에 시집올 때인 서기 48년에 16(二八矣)세였으므로 역산하면 서기 32년생이고 그 할아버지가 태어난 정묘년은 60갑주에서 기원전 54년에 해당된다. 그때는 중국사에서는 西漢(서한·前漢) 宣帝(선제 五鳳) 4년이다. 나는 당시의 기록인 「漢書」를 찾아 그 해에 일어난 사건을 살펴보았다. 『夏 四月 辛丑 그믐날 日蝕(일식)이 있었다. 皇天(황천)이 現異(이상)함을 보이니까…』 무슨 정치·사회적인 事端(사단)이 일어나고 있었다. 계속 읽어 내려갔다. 『짐을 경계하는 것이어서 짐이 백성을 제대로 다스리지 못함이요, 관리들이 직무를 제대로 하지 않음이다. 이전에 사자를 보내 백성들의 질고를 물은 바 있었는데, 다시 승상과 신하 24人을 보내 천하를 순행하게 하고, 억울한 옥살이를 밝혀 내고, 멋대로의 행동을 밝혀내, 뉘우치지 않는 자들을 엄히 다스렸다』 고대사회에서 일식이 발생하면 커다란 변고이다. 고대인들은 왕이나 천자가 부덕하여 일식이 일어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아마도 정묘년 일식은 普州(보주) 땅 神井記(신정기)에 써 있는 대로 오랜 가뭄을 암시하는 듯하다. 그래서 고급관리들을 지방에 파견하여 지방관들의 苛斂誅求(가렴주구)를 막고 大赦免(대사면)을 행하여 흉흉한 민심을 수습하였던 모양이었다. 이 사건을 아유타국이 있던 인도史와 관련하여 살펴보면 BC 70년 박트리아를 중심으로 일어난 大月氏(대월지) 세력이 인도의 갠지스江 하류를 점령하였고, 마가다 왕국은 명맥을 유지하기가 매우 어려웠을 때였다. 이민족의 침략을 당한 역사의 혼돈 시기에 살아야 했던 마가다국 사람들의 생활은 고되게 마련이다. 許黃玉(허황옥)의 조상이 이때쯤 인도에 살았었다면 역사적 혼란의 희생물이 되었을 것이고, 이민족의 침입으로 붕괴되어 가고 있는 고향을 떠나 어디론가 피란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 쉽게 추리된다. 그 피란의 방향이 중국 서남부 지방일 수 있는데, 중국 서남부는 인도 아소카王 시대부터 인도의 세력이 굳게 자리 잡고 있던 곳이다. 혹시 이때 인도를 떠난 許黃玉(허황옥)의 선조들이 普州(보주)지방에 자리를 잡게 된 것은 아닐까. 그러면서도 자기네들은 아유타국 출신의 브라만(許) 계급으로서 신앙생활을 하였던 모양이다. 자기네 식의 신전을 세우고 神魚像(신어상)을 조각해서 붙였을 것이다. 그래서 神魚가 인류를 재난으로부터 구해 준다는 이야기가 후손들에게 口傳(구전)되었는지도 모른다. 민족구성 문제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조선시대 하와이로 농업이민을 간 사람들이 세월이 많이 지나서도 자기네들은 「조선사람」이라고 주장하는 것처럼, 普州(보주)에 옮겨 와서 몇 대를 살던 인도 사람들도 자신들을 「아유타국 사람」이라고 주장하였을 것이다. 그러다가 그만 47년 南郡(남군)의 반란사건이 터져 다시 普州를 떠날 수밖에 없었던 사람들 중에 일부가 가락국에 도착한 것일지도 모른다. 이 이야기는 픽션 같지만 실제로 지구상에서 神魚像(신어상)이 나타나고 있는 지역들을 지도를 그려 가며 살펴보면 바빌로니아에서 인도로, 인도에서 중국 양자강 유역으로 퍼져 있고, 다시 황해를 건너 한국의 김해지방에 나타나 있다. 이 현상은 어쩌면 우리가 모르고 있는 고대 세계에서 일어난 집단 이민의 한 루트일지도 모른다. 유태인들이 바빌로니아에 포로로 잡혀 가 있던 동안에 神魚(신어)사상에 접하여 이스라엘로 귀환한 다음, 로마의 기독교 박해 기간에 세운 지하교회인 「카타콤」에 神魚를 그렸다. 예수님이 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로 많은 사람의 기아를 면해 주었다는 내용인 「五餠二魚(오병이어)」이다. 아주 작은 물고기 두 마리가 지닌 비밀과 普州太后(보주태후)가 우리에게 설명하는 고대사는, 우리가 전통적으로 생각해 왔던 「한국민족은 기마민족과 농경민족의 결합이었다」는 단순한 생각을 바꾸게 한다. 한국인은 이제 민족구성 문제에 관한 한 기존의 패러다임을 버리고 새로운 시각으로 역사를 보아야 할 때가 되었다. 우리 몸 속에 바빌로니아-페르시아-인도-普州(보주)로 흐르는 또 하나의 유전인자의 통로가 수로왕릉의 神魚像(신어상)과 普州太后(보주태후)라는 글자를 통해 뚜렷하게 보이기 시작한다. ● (월간조선 2004년 4월호) |
김병모(金秉模) 1940년 서울서 출생. 서울大 고고인류학과 졸업. 이탈리아 국제문화재연구소 및 영국 런던고고학연구소 수학. 영국 옥스퍼드大 철학 박사. 한양大 문화인류학과 교수. 안면도 고남리 패총, 二聖山城 발굴작업 주관. 1993~1995년 한국 고고학회 회장. 전 한국 전통문화학교 총장. |
'☞ 역사속으로[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도가 일본 영토라는 주장의 근거는 무엇일까요? (0) | 2008.10.05 |
---|---|
高句麗(고구리) 건국은 BC239年으로 보아야 한다 ! (0) | 2008.10.05 |
民族의 뿌리를 찾아서 - 김병모(金秉模)의 考古學 여행⑥ (0) | 2008.10.05 |
民族의 뿌리를 찾아서 - 김병모(金秉模)의 考古學 여행⑤ (0) | 2008.10.05 |
民族의 뿌리를 찾아서 - 김병모(金秉模)의 考古學 여행④ (0) | 2008.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