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사용하는 치수 의 일본식 호칭의 해부
分(ぶん, ぶ) ; 分은 본래 할, 푼, 리에서 쓰는 1/100의 뜻을 가지고 있는 말인데, 한 자(尺)의 1/10인 한 치(寸)의 아래 단위로, 한 자(尺)의 1/100인 푼(分)을 사용하였는데 이것의 길이가 3.030mm 정도이다. 이것은 1 inch의 1/8인 3.175mm 보다는 명백히 작다. 1/8 inch로 쓰는 分과 척관법에서 쓰는 分은 똑같은 크기가 아니지만 비슷하여 오래전부터 일본에서 관용적으로 사용하여 굳어진 표현법이다. 또한, 척관법에서의 分은 10진법의 단위이지만, inch는 분수 단위로 사용하므로 10진법의 단위가 아니어서 1/8 inch가 1分이 되었다.
예) 2.5分은 2分5厘으로 '니브고링'이라 호칭하고 5/16 인치에 해당한다.(厘 りん) 따라서 이찌부고링은 3/16을, 삼부고링은 7/16, 욤부고링은 9/16에 해당된다. 설상가상으로 비슷한 크기는 모두 같은 호칭이 통해 헛갈린다.
볼트,파이프등의 호칭에 사용하고 있으나 의미를 아시는 분들은 고부가 아니라 5/8 인치라고 호칭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임. 더 나아가 미터법으로 규격을 통일 하면 더 이상적이겠죠. 고쳐야할 또다른 단위 호칭 주로 건설 현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과 ㎥의 일본식 호칭 헤베(헤배)와 루베(루배, 누배)도 제곱미터와 세제곱미터로 호칭하는 것이 맞는 사용례입니다. ㎡는 平米(へいべい 헤베), ㎥는 立米(りゅうべい 류베)로 발음하는 일제 용어는 버렸으면 합니다. 세제곱미터가 길어서 불편하면 일본사람들이 입미로 줄이듯이 우리도 입미로 줄여 우리 발음대로 입미로 하는 건 어떨까요? 누배나 루배로 발음하는 한국사람을 일본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할까요? (일본 제국주의 백성들이 아직도 충성스럽게....) 외래어는 다 틀리게 쓰나....... |
'공작> inch - mm 환산표'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ch - mm 대조표 (0) | 2025.04.06 |
---|---|
inch => mm 환산(일본식호칭) (0) | 2025.04.06 |
인치(inch) - mm 환산(일본식호칭) (0) | 2011.02.24 |
▣== inch - mm 환산표 (0) | 2008.10.28 |
▣ == inch - mm 환산표 ★★★★★ (0) | 2008.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