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 벚꽃
벚꽃은 일본의 국화(國花)이며 3월의 벚꽃축제는 헤이안(平安)시대부터 출발하여
이제는 따로 설명이 필요없는 유명한 행사가 되었으며 광의 벚꽃 아래에 있는 것은
[만막]이라 불리는 것으로 지금도 일본에서 사용되는 전통적인 휘장이며
벚꽃 축제를 나타내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역사문헌에서 벚꽃을 감상했다는 기록은
찾아볼 수 없고 일제 식민지 시대 이후부터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그림 A
그림 B
4월 : 흑싸리
일본의 전통시에는 계절마다 쓰이는 시어(詩語)인 계어(季語)가 있는데
흑싸리로 잘못 알고 있는 등나무는 초여름을 상징하는 계어(季語)이며
일본에서는 각종 행사시 가마에 장식하거나 가문의 문양으로 쓰이는 등 친숙한
식물이지만 우리 나라에서는 절개가 없는 덩굴식물이라하여 그다지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또한 달밤(하현달)의 두견새는 원조(怨鳥),귀촉도(歸蜀途),
또는 망제혼(望帝魂)이라고 하여 불길한 징조를 상징하므로
우리나라의 민화에서도 그려지지 않는 소재입니다.
패를 들때 그림 B와 같이 들어야 올바른 모양입니다.(KBS 프로그램『스펀지』참고)
등나무는 아래로 늘어져 자라는 식물이기 때문입니다.
열끗으로 사용되는 패의 그림과 비교하면 이해가 쉽습니다.
5월 : 난초(蘭草)
패에 그려진 꽃은 난초로 잘못 인식되어져 있지만 사실은 붓꽃(杜苕)은
보라색 꽃이피는 관상식물로서 아이리스(Iris)를 말하며 화투에 담겨진 내용은
습지의 야쯔하시라는 다리를 걸으며 붓꽃을 감상하는 전형적인 일본의 풍취를 상징하고 있습니다.
6월 : 모란(牡丹)
모란(牡丹)은 6월의 시어(詩語)로서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고귀한 이미지를 가진
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서양꽃의 으뜸으로 장미를 가리킨다면 동양에서는
모란을 가리킬 만큼 꽃중의 왕으로 불리우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화에서는 신라의 선덕 여왕이 ‘당태종이 보낸 그림에 나비가 없음을 보고
모란에 향기가 없음을 알았다.’고 말한 일화가 있어 모란에는 나비를 그리지 않는것이
관례로 전해내려오고 있어 모란에 대해 우리와는
다른 문화적 메시지가 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7월 : 홍싸리
일본에서의 싸리는 가을 7초중의 선두지만 우리 나라에서는 빗자루를 만드는
천한 수종이었으며 시조문학에서는 단 한번도 인용된적이 없는
일본인만의 독특한 정서를상징하고 있습니다.
함께 그려진 멧돼지는 7월의 사냥철을 나타내는 것인데
이 역시 우리와는 다른 문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8월 : 공산(空山;공산명월)
일본패에는 가을 7초 중 하나인 억새풀이 가득히 그려져 있으나 우리의 것에는 생략되었습니다.
우리는 8월 15일을 추석이라 하여 조상에 대하여 감사드리는 성묘와 차례로
이어지는 최대의 명절인 것에비해 일본에선 둥근 달을 보며 과일 같은 것을 창가에 두고
달에게 바치는 소박한 명절인 월견자(月見子:오츠키미)를 나타냅니다.
9월 : 국준(菊俊)
일본에는 고대 중국의 기수민속(奇數民俗)의 영향을 받아 중앙절(中陽節-9월 9일)에
술에 국화꽃을 넣어 마시며 무병장수(無病長壽)를 기원하는 일본의 관습을 나타내며
잔에 목숨 수(壽)자가 있는 것도 그런 연유인데 우리나라에서는
홀로 늦가을 서리속에 피어 깨끗하고 아름다우며 지조있는 국화가 인고(忍苦)와 사색(思索)을
의미하며 일본의 무병장수(無病長壽)와는 다른 문화적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10월 : 단풍(丹楓)
10월의 단풍은 '낮에는 홍엽(紅葉), 밤에는 홍등(紅燈)' 이라고 하며
단풍이 물들기 시작할 때 그 색채의 변화를 즐기는 일본인들의 풍취를 상징하며
함께 그려진 사슴은 근세에 성행했던 사슴 사냥철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단풍 놀이는 우리 에게도 세시 풍속 중 하나였으나 풍류를 즐기면서
가을을 만끽하는 즐거운 단풍절에 하는 사냥은 우리의 정서와 맞지 않습니다.
11월 : 오동(梧桐)
11월의 오동(梧桐)과 봉황(鳳凰)은 일본왕의 도포에 쓰이는 문양으로 왕권을 상징하며,
일본에서 오동이 12월인것은 오동을 뜻하는 [기리]라는 말이 '끝'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오동이란 본래 벽오동(碧梧桐)을 말하는 것이며, 오동과 봉황은
군자가 천자의 지위에 오르면 출현한다는 영물인 봉황이 벽오동나무가 아니면
깃들지 않는다 하여 고귀하고 품위있고 빼어난것의 표상으로 사용 되었습니다.
12월 : 비[雨]
광의 갓을 쓴 사람은 일본의 3대 서예가 중의 한 사람인 오노도후(小野道風;AD.894-966)이며
개구리가 버드나무에 오르기 위해 수없이 노력하는 것을 보고 노력의 중요성을 깨달았다는
[오노도후의 설화]를 바탕으로 구성한것이며 일본에서는 초등학교 교과서에까지 실렸다고 합니다.
또한 비가 11월에 배치된 것과 수양버들이 등장하는것은 파란풀이 월동할 만큼
온난하며 11월에도 비가 내리는 일본의 아열대성 기후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우리의 계절과 맞지 않습니다.
※ 기본적인 점수에 해당하는 패
1. 광
- 광은 3장을 먹을때부터 점수로 인정하여 3장을 먹으면 3점입니다.
- 광 3장 중에 비가 들어가면 비3광이라 하여 2점으로 계산합니다.
- 광4장을 먹으면 비와 관계없이 4점으로 인정합니다.
- 광5장을 모두 모으면 오광이 되어 15점으로 계산합니다..
2.열끗
- 열끗은 기본 무늬에서 추가적인 그림들이 있는 것인데,
5장을 모으면 1점이고 추가로 모으는 것 마다 1점씩 추가됩니다.
- 7장 이상일 경우에는 멍텅구리(또는 멍따-멍텅구리 따블)라 하여 점수가 2배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