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철은 고로발생 고철로서 철광석을 원료로 하여 생산되는 일관제철 공정에서 발생되는 강의 고철과 제품 소재를 1차 가공시 발생되는 더럽혀지지 않은 고철로서, 산화되지 않은 상태로 그 원산지 및 발생처가 분명한 것을 말한다. 예를들어, 열연, 냉연 coil 및 박판류 고철, 슬라브 절단설, 후판설 등이 있다.
사진 |
고철종류 |
상태설명 |
제한규격 |
|
냉간압연판 |
고로발생 단일품으로서 발생되는 미결속된 Coil성 냉연판 (일부강편설 혼적되어 있음)
|
500/100/0.5~100 mm 이내
|
|
냉간Coil설 |
고로발생 단일품으로서 냉간압연판 소재의 Side Coil설 (결속상태 양호한 것)
|
500/100/0.5~100 mm 이내
|
|
열간압연판 (강판설)
|
고로발생 단일품으로서 결속상태 양호한 일반 탄소강판설
|
500/100/0.5~100 mm 이내
|
|
열간Coil설 |
고로발생 단일품으로서 열간압연판 소재의 Side Coil설 (결속상태 양호한 것)
|
500/100/0.5~100 mm 이내
|
|
냉간압연판 (펀칭설)
|
고로발생 단일품으로서 냉간박판 소재의 펀칭설 (도장 및 도금상태 중점확인)
|
500/100/0.5~100 mm 이내
|
|
냉간박판 (절단설)
|
고로발생 단일품으로서 냉연공정 에서 발생되는 길이 40Cm 이내의 박판 절단설
|
500/100/0.5~100 mm 이내
|
|
열간압연판 (강판설)
|
고로발생 단일품으로서 후판절단 과정에서 발생되는 Side 절단설
|
500/100/0.5~100 mm 이내
|
|
슬라브설 |
고로발생 단일품으로서 수입 슬라브 절단설 (일부 중량초과분 혼적된 상태, 별도 선별후 절단함)
|
500/100/0.5~100 mm 이내
|
|
블룸, 빌레트고철
|
고로발생 단일품으로서 수입 블룸 빌레트 고철
|
500/100/0.5~100 mm 이내
|
|
Wire Rod설 |
고로발생 단일품으로서 선재공장 에서 미결속 선재고철로서 Press 가공을 위해 집하된 상태
|
500/100/0.5~100 mm 이내
|
|
|
|
중량고철은 중량 400kg 이내로 비교적 부피비중이 무거운 것으로 봉, 형강류, 철근류, 파이프류 등 이루어진 고철과 절개된 가스통, 볼트, 너트, 차량부품과 모터블럭, 주물고철 등이 이에 포함된다.
사진 |
고철종류 |
상태설명 |
제한규격 |
|
환봉 |
일반탄소강 소재의 환봉 고철로서 합금강 등 강종이 혼입되지 않은 것
|
길이 1,000mm 이내 직경 3~100mm 이내 (중량 400 Kg 이내)
|
|
H-Beam |
철구조물 해체고철로서 주종이 형강류(H-Beam)로 정제상태가 양호함
|
500*1,000*3~100mm 이내 (중량 400 Kg 이내)
|
|
ㄱ형강 ㄷ형강
|
ㄱ형강, ㄷ형강 불량품 절단 및 부분 절단한 것
|
500*1,000*3~100mm 이내 (중량 400 Kg 이내)
|
|
형강 |
압연과정에서 발생한 불량 형강제품을 절단한 고철
|
500*1,000*3~100mm 이내 (중량 400 Kg 이내)
|
|
형강 편철류
|
기계제작용 형강 평철류 고철
|
500*1,000*3~100mm 이내 (중량 400 Kg 이내)
|
|
직선철근
|
직선 철근을 절단한 것
|
500*1,000*3~100mm 이내 (중량 400 Kg 이내)
|
|
중량고철
|
철구조물 제작과정에서 발생되는 절단설 및 펀칭설 (주로 후판재로 공장 발생 고철)
|
500*1,000*3~100mm 이내 (중량 400 Kg 이내)
|
|
PIPE |
일반 탄소강 소재로 PIPE 절개 고철
|
500*1,000*3~100mm 이내 (중량 400 Kg 이내)
|
|
LPG GAS통
|
완전 절개된 LPG GAS통
|
500*1,000*3~100mm 이내 (중량 400 Kg 이내)
|
|
단조고철 |
단조스켈이 혼입되지 않은 단일품
|
500*1,000*3~100mm 이내 (중량 400 Kg 이내)
|
|
철도차량 |
폐광 철거시 발생되는 Rail Road 및 갱차해체고철
|
500*1,000*3~100mm 이내 (중량 400 Kg 이내)
|
|
차량부품 (중형)
|
폐차발생 고철로서 Body를 제외한 부품
|
500*1,000*3~100mm 이내 (중량 400 Kg 이내)
|
|
차량부품 (대형)
|
대형차의 Frame,스프링 등 |
500*1,000*3~100mm 이내 (중량 400 Kg 이내)
|
|
주물고철 |
주물공장 발생 불량품으로 제한규격 및 성분상태가 확실한 단일품
|
500*1,000*3~100mm 이내 (중량 400 Kg 이내)
|
|
|
|
|
|
경량고철은 부피비중이 비교적 낮은 고철로 생화용품류, 차피류, 종기구류, 사무용 집기류, 건축폐자재류, 경량구조물 등이 포함된다.
사진 |
고철종류 |
상태설명 |
제한규격 |
|
가전제품 사무용품
|
철망, 드럼통 등 생활용품 으로 전량 G/S소재 고철 (PVC, 고무류 부착 등 불순 물 혼입상태 중점 확인)
|
600*1,000*500mm 이내 (소재두께 3mm 이내)
|
|
창틀 건축폐자재
|
창틀(건출폐자재)로서 Shredded소재
|
500*1,000*3~100mm 이내 (중량 400 Kg 이내)
|
|
건축 폐자재류
|
건축폐자재류 고철(콘크리 트 및 불순물 부착정도 중점 확인)
|
500*1,000*3~100mm 이내 (중량 400 Kg 이내)
|
|
폐차 Body |
폐차 발생 고철중 차량 Body, Shredded소재
|
500*1,000*3~100mm 이내 (중량 400 Kg 이내)
|
|
보일러통 생활용품류
|
절단된 보일러통
|
500*1,000*3~100mm 이내 (중량 400 Kg 이내)
|
|
난방기구류
|
라디에이터
|
500*1,000*3~100mm 이내 (중량 400 Kg 이내)
|
|
아연도강판
|
아연도강판
|
500*1,000*3~100mm 이내 (중량 400 Kg 이내)
|
|
석도강판 |
석도강판소재 고철 (기름분 중점확인)
|
500*1,000*3~100mm 이내 (중량 400 Kg 이내)
|
|
Steel Band
|
박판류 Steel Band
|
500*1,000*3~100mm 이내 (중량 400 Kg 이내)
|
|
철선 |
부피고철로서 가공을 요하는 철선
|
500*1,000*3~100mm 이내 (중량 400 Kg 이내)
|
|
경파이프 |
Φ25mm 미만의 소형 파이프 (부피고철)
|
500*1,000*3~100mm 이내 (중량 400 Kg 이내)
|
|
드럼통
|
경량 부피고철로 가공을 요하는 소재
|
500*1,000*3~100mm 이내 (중량 400 Kg 이내)
|
|
박판설
|
도장된 경량 박판설 |
500*1,000*3~100mm 이내 (중량 400 Kg 이내)
|
|
|
|
|
|
가공고철은 수집과정에서 직장입이 불가능한 형태의 고철(예:장척물)을 압축가공기, Shredded기, Guillotine 가공설비 등으로 일정한 규격의 장입 Box Size상태로 가공한 고철을 말한다. 가공고철에는 Shredded고철, 폐철제캔 압축고철, 중량 및 경량고철을 Guillotine 가공한 고철, 생철 및 고철을 압축한 고철 등이 포함된다.
사진 |
고철종류 |
상태설명 |
제한규격 |
|
Shredded
|
중량고철에 속하는 철판류를 Shredded 가공한 고철
|
200*100mm 이내 |
|
폐철제 캔압축
|
식음료용 캔을 수집,가공한 것(폐전지류, 고무류, 흙, 돌, 플라스틱류, 스케일, 페인트 및 오일류통, 폐차류, 비철류 등 고의성에 의한 물질 혼입이 없는 것) 500*500*700mm 이내
|
500*500*700mm 이내 |
|
G/S A (중량고철)
|
중량고철 장축물을 세절 가공한 고철 G/S B(경량고철 소재)
|
없음 |
|
압축 A (생철압축)
|
고로발생 단일품을 압축가공한 것
|
500*500*700mm 이내 |
|
압축 B (경량고철)
|
전자제품등 공장 직접발생 경량고철 압축
|
500*500*700mm 이내 |
|
|
| |